스크랩
[스크랩] 전립선 암이란 ... 퍼옴
왕언니
2013. 11. 1. 02:36
전립선암
*** 특징
전립선암은 어떤질환인가요?
전립선암은 전립선의 주변부로부터 시작되는 악성종양입니다. 이 종양이 자라면서 전립선의 내부에까지 종양이 퍼질 수 있습니다. 다른 암들과 같이 전립선암도 뼈나 폐 등 신체의 다른 중요 장기에까지 전이될 수 있습니다. 초기의 전립선암은 비뇨기과적 증상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나 암이 진행함에 따라 요도의 압박이나 요로폐색 등의 중요한 비뇨기과적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암에 비해 척추나 골반뼈 등 신체의 가장 중심적인 부 위에 전이를 잘 일으켜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전립선암은 전립선의 이행 부가 주로 비대해져 나타나는 전립선비대증과는 다른 악성종양입니다.


전립선암은 왜 발생하나요?
전립선암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립선암의 발생빈도는 인종이나 종족, 또는 가계의 유전적인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환경적인 면이 크게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요인 중에서도 특히 음식류(육류, 고지방음식) 가 영향이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전립선암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비뇨기계종양 중 하나로서, 미국에서는 1997년에만 약 380,000명이 전립선암으로 새로이 진단되었고 41,800명이 이 병으로 사망하여 폐암 다음 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악성종양입니다. 또한 전립선암은 50세 이전에는 흔하지 않은 질환이나 50세를 넘게 되면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최근 국내에서도 노인남성의 수가 급증하고 최신 진단장비의 도입과 함께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전립선암으로 새로이 진단되는 환자수와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전립선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전립선암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비뇨기계종양 중 하나로서, 미국에서는 1997년에만 약 380,000명이 전립선암으로 새로이 진단되었고 41,800명이 이 병으로 사망하여 폐암 다음 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악성종양입니다. 또한 전립선암은 50세 이전에는 흔하지 않은 질환이나 50세를 넘게 되면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최근 국내에서도 노인남성의 수가 급증하고 최신 진단장비의 도입과 함께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전립선암으로 새로이 진단되는 환자수와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전립선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전립선암의 증상은?
전립선암은 그 크기가 작고 초기암일 경우에는 대부분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미 전립선암이 상당히 진행되었거나, 또는 암과는 별도로 전립선비대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배뇨곤란, 빈뇨, 혈뇨, 배뇨시 통증, 배뇨시 약한 오줌줄기, 또는 배변시 불편 등입니다. 또한 전립선암이 기타 장기, 특히 골반 뼈나 척추뼈에 전이가 될 경우에는 심한 골통증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하반신마비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진단
전립선암을 진단하는데는 몇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의사는 먼저 환자의 병력과 현재의 증상, 또는 특별한 비뇨기계통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검사를 거쳐 진단을 하게 됩니다.
경직장수지검사(DRE: Digital Rectal Examination)
전립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 안에 있는 장기이기 때문에 직접 눈으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손가락을 직장에 넣어 전립선 부위를 직접 만져보는 검사를 하게 되는데, 전립선의 크기, 모양, 촉감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이 검사를 직장수지검사라고 하는데, 특히 단단 하거나 울퉁불퉁한 경결과 같은 이상병변이 확인되면 전립선암을 추정 진단할 수가 있으며 좀더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혈청 전립선특이항원검사나 경직장초음파검사를 하 게 됩니다.


혈청 전립선특이항원(Prostate-Specific Antigen:PSA) 검사
혈청 전립선특이항원(PSA)은 전립선암을 진단하는데 매우 민감한 종양지표로서, 간단히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중 PSA의 수치를 측정하는 객관적인 검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전립선암이 진행하면 혈청 PSA수치는 상승하게 되며, 이 검사는 전립선암의 조기진단에 매 우 유용합니다.

경직장초음파검사(Transrectal Ultrasonography)
직장을 통하여 초음파기계를 삽입한 후 전립선의 상태를 초음파영상으로 파악하는 방법으로 통증없이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통하여 악성병변인지 또는 염 증 등 양성병변인지 감별할 수 있으며, 전립선의 크기, 모양, 전립선암의 동반 유무 또는 암 의 전립선 밖 주위로의 침윤 등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에 설명되는 전립선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립선조직검사(생검)
앞서 설명드린 경직장수지검사, 혈청 PSA수치검사 및 경직장초음파검사로서 전립선암이 의심되면 전립선암의 확진을 위하여 전립선조직생검을 시행하게 됩니다.이 검사는 전립선 내 에 암세포의 존재유무와 악성도 판정을 위하여 가는 바늘을 직접 전립선에 삽입하고 아주 조그만 조직을 떼어내어 병리학적으로 현미경검사를 시행하는 것으로, 외래에서 마취없이 비교적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로서 전립선암이 확진되면 전립선암의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여 진행정도(병기)를 결정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기 위하여 * 컴퓨터단층촬영(CT-Scan) *자기공명영상(MRI)촬영 *방사선동위원소 골주사(Bone Scan)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진행정도

A기
일반 진단검사로는 전립선암이 발견되지 않고 전립선비대증으로 수술 후 조직검 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거나, 또는 혈청 PSA수치가 단순히 증가되어 전립선 생검으로 전립선암이 발견된 상태로서 전립선 내에만 국한된 전립선암.

B기
직장수지검사로서 종양이 촉진되며, 전립선 밖으로는 암이 퍼지지 않은 전립선암.

C기
전립선암이 전립선피막을 넘어 전립선 주위조직으로 퍼진 상태로서 정낭이나 방 광 등에 전이된 전립선암.

D기
전립선암세포가 골반림프절 등에 전이되거나, 뼈, 폐 등 신체의 다른 장기로 원격전이된 전립선암. 대부분의 암이 마찬가지입니다만 특히, 전립선암은 조기에 발견되면 치료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앞서 말씀드린 증상으로 비뇨기과를 찾아 암이 의심되어 검사를 시행하면 이미 전립선암 D기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50세 이상의 남성들은 주기적으로 전립선암에 대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고, 배뇨곤란 등 이상소견이 있으면 곧 비뇨기과 전문의를 찾아 전립선암에 대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따라서 50세 이상의 남성들은 주기적으로 전립선암에 대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고, 배뇨곤란 등 이상소견이 있으면 곧 비뇨기과 전문의를 찾아 전립선암에 대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암 닷컴에서 퍼옮 ---------------------
전립선암 (Prostatic cancer) | ||||
영상 소견
|
| |||
소개 |
전립선은 방광바로아래에 위치하며 밤톨 만한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립선암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최근 식사습관이나 생활습관의 서구화로 발생빈도가 급증하고 있음
2. 조직형태의 대부부은 선암 (adenocarcinoma)임
3. 4개의 부위(말단부위/중앙부위/주변부위/전방부위)로 나뉘는데 대부분 말단부위에서
발생하며 노인에게서 흔한 양성질환인 전립선비대증은 주변부위에서 생깁니다.
전립선의 인근에는 seminal vesicle 이라는 장기가 있는데 전립선암이 차라면서 이곳을
침범하며 더 나아가서는 방광을 침범합니다
4. 남성호르몬의 지나친 자극이 전립선암의 발병이나 진행과 밀접한 관련
5. 갑상선암과 더불어 예후가 극히 좋은 대표적인 암
[전립선암의 진행 양태]
1. 림프절침범을 하는데 처음에는 전립선주변의 림프절을 침범하여 나아가 골반내림프절
->복부 림프절 (20-30%내외)을 침범하게됩니다. 분화도가 나쁠수록 림프절침범의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2. 전립선암도 원격전이를 할수있는데 가장 잘가는 곳이 뼈입니다
[병리적 특성]
1. 가장 흔한 조직형태는 선암(adenocarcinoma)
2. Gleason's score : 전립선암을 조직학적으로 분화도의 정도를 구분한 것으로 0-10점으로
구분하며 0-4점까지는 잘분화된 암, 5-7점까지는 중등도로 분화된 암이며
7-10까지는 미분화된 암으로 구분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예후가 나쁩니다.
3. 선암이외의 조직형태 : ductal adenocarcinoma/mucinous carcinoma/sarcoma/
carcinosarcoma/adenoid cystic carcinoma/squamous cell carcinoma등
4. PSA (Prostate Specific Antigen)
가. 전립선암에 있어 치료의 반응이나 재발/전이를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
나. 전립선염이나 전립선비대증의 경우에도 상승 할 수 있음
다. PSA의 정상범위는 0-4.5ng/mml입니다.이를 벗어나면 재발이나 전이를 고려해야함
| |||
증상 |
1. 요도압박 : 전립선은 해부학적으로 요도를 감싸며 존재하기 때문에 전입선암이 발생 시
요도를 압박하여 배뇨곤란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음), 빈뇨 (소변 횟수가 잦음),
잔뇨감 (배뇨 후에도 소변이 남은 듯한 느낌이 나는 것), 야간다뇨,
절박뇨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느낀 후부터 화장실에 갈 때까지 소변을 참지 못하는 상태),
하복부불쾌감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음
2. 암의 크기가 요도를 압박할 정도로 크지 않을 경우에는 무증상
3. 방광을 침범하거나 자극시 : 육안적 혈뇨, 요실금이 나타남
4. 요관 침범시 :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방광으로 오지 못하고 역류하여 신장염이 발생가능
5. 림프절을 침범하여 크기가 커지면 그와 관련된 증상이 발현
6. 뼈를 침범한 경우 : 통증이 가장 문제. 대개 동시 다발적으로 전이하며 주초 척추로 전이함
골수를 침범하게되어 혈액검사상 백혈구나 적혈구 혈소판수치가 감소 가능
| |||
진단 |
1. 임상 진단 : 환자의 증상관찰/의사의 진찰/PSA 수치
2. 영상 진단 : 직장 초음파/CT/MRI/PET-CT등
3. 조직 진단 : 확진 (조직생검등) - TUR-P | |||
병기 |
전립선암은 TNM분류보다는 과거부터 전통적으로 써오는 다른 분류법을 사용합니다.
병기 A : 양성병변의 진단에 따라 수술을 받고, 절제된 조직 내에 우연히 발견된 암
A1. 전립선내에 국한된 1.0cm 이하의 병변으로, 고분화암(성질이 얌전한 암
A2. 전립선내에 미만성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여러 군데로 퍼진 상태)으로
........ 퍼진 암, 또는 중,저분화암 (고분화에 비해 악성도가 높은 암)을 말합니다. ........ 이하는 임상적으로 전립선암이 의심되어, 흡인세포진 또는 침생검을 통해 ........ 조직학적으로 암이라고 진단된 병기입니다 병기 B : 전립선에 국한된 암
B1 : 전립선을 좌우로 나누었을 때 그 한 쪽에 병변이 국한되어 있는 1.5cm 이
.......... 하인 암. B2. 전립선내의 1.5cm를 넘는 암 또는 미만성이나 결절성 (덩어리로서 발육
...........하는 상태)으로 확산되는 암을 말합니다. 병기 C : 전립선피막을 넘어서 퍼져 있지만 전이는 나타나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전립선에
인접하는 정낭(seminla vesicle), 방광경부 (bladder neck)로 퍼진 암도 포함됩니다.
병기 D : 임상적으로 전이소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암입니다. 전립선 속의 암의 크기
......... 는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D1 : 규약으로 정해진 골반내의 림프절전이가 나타나는 암을.
D2 : D1보다 넓은 범위의 림프절이나 뼈, 폐, 간장 등 멀리 떨어진 부위로의 전
........... 이가 나타나는 암을 말합니다. | |||
치료 |
[병기에 다른 치료원칙]
병기 A1 -------------------------------------------
1. 수술을 하거나 close observation (기다림) 하기도 함
2. 최근에는 IMRT(세기조절 방사선치료)를 하기도함 : 대상은 A1이면서 Gleason 점수가
5-10인 경우
병기 A2/B ----------------------------------------
1. 수술을 하거나 방사선치료
2. 수술 : 전립선을 완전절제하고 림프절절제술을 같이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
3. 방사선치료 : IMRT
병기 C --------------------------------------------
1. 방사선치료나 +/- 호르몬치료
병기 D : 호르몬요법이나 항암화학요법 혹은 고식적 목적의 방사선치료
[ 치료방법에 따른 설명]
1. 수술 (Surgery) ------------------------------------------------------
전립선 완전 절제술 (Radical Prostatectomy) : 암이 전립선에 국한된 경우에만 시행
만약 림프절전이가 있거나 암이 전립선을 벗어나있는 경우 큰 역할 없음
--> 이 경우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나 방사선 단독치료
2.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
1. 전립선암은 방사선치료가 매우 유용한 암
2. UCSF(미국의 한 대학)의 권고에 따라서 PSA 수치와 Gleason score릐 수치정도를 가지고 이것이 15%를 넘으면 골반강전체를 먼저 5주내외 (약 4500 cGy)를 치료한 후 IMRT로
전립선 + 정낭 혹은 전립선만을 추가적으로 약 2700 cGy 내외(total 7200 cGy 내외)를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병원마다 프로토콜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3. 전립선은 바로앞에 방광이, 바로뒤에 직장이 있어서 특히 IMRT가 이들 장기의 부작용을
줄이는데 많은 장점을 가진 치료방법입니다.
4. 뼈에 전이한 경우 고식적목적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데 대개 다른 암의 뼈전이와는 달리
대개 뼈전이가 늦게 나타나며 치료에 대한 반응도 비교적 상대적으로 좋은편으로
일일 300 cGy 씩 10회, 총 3000 cGy를 조사합니다.
5. 전신에 뼈전이가 있거나 혹은 과거 뼈전이가 있어서 일반 방사선치료로 치료 후
재발한 경우 방사성동위원소인 스트론튬89라는 제제를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으며
반응은 좋은편입니다.(다만 국내에서 시행하는 병원은 많지 않습니다)
3. 호르몬치료 (Hormonal Therapy)
가. 전립선암은 유방암이나 자궁내막암 난소암과 마찬가지로 호르몬에 영향을 받는 암.
나.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영향력을 무력화하기 위해 호르몬치료를 시행함
다. 남성호르몬은 뇌의 일부인 뇌하수체에서 나오는 호르몬(LH-RH)에게 자극을 받아
정소와 부신에서 분비됩니다. 치료수단으로서 이 남성호르몬이 생성되는 과정을 억제하거나
전립선에 작용하지 못하게 하면 되는 것.
라. 거세술 (Orchiectomy) : 남성호르몬이 많이 만들어지는 정소 자체를 제거하는 방법
마. 남성호르몬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여성호르몬이나 항남성호르몬제를 하루에
수차례 경구 복용하는 방법이 있고
바. 피하주사 : 졸라덱스같은 항홀몬제제를 한달에 한번 복부에 피하 주사함
4.. 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
가. 호르몬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시도해볼수있음
나. 아드리아마이신같은 제제가 사용되며 반응율은 30%정도입니다.
| |||
예후 |
생존율
A/B기의 경우 : 수술 (5년생존율이 80-90%, 10년생존율 50-70%, 15년생존율 31-55%)
방사선치료 (5년생존율 80-90%, 10년생존율 50-60%, 15년생존율 40%정도)
C기의 경우 : 5년생존율 50-75%, 10년생존율 30%내외.
D기의 경우 : A-B-C기에비해 많이 떨어짐 |
출처 : 전립선암 이기기
글쓴이 : 주둥이 원글보기
메모 :